***이런 공부합니다***/해부생리학

[순환기계] Azygos vein(기정맥)

힐링터치 2012. 6. 29. 23:00

 

-위키백과사전을 번역했습니다-

 

 

 

azygos vein(기정맥)은 흉추체의 오른쪽 벽을 타고 올라갑니다.  azygos vein(기정맥)은 inf. vena cava(하대정맥)와 sup. vena cava(상대정맥)을 연결하는 비상통로 역할을 합니다. 만약 하대정맥의 흐름이 약해지면 하체로 이동한 동맥혈은 하체의 체표를 지나서 기정맥으로 유입된 후 쇄골하정맥과 합류하여 상대정맥으로 흘러 들어갑니다.

 

 

 

 

 

 

 

 

 

 

 

 

 

 

 

 

 

 

 

이 혈관의 해부학적인 모습은 다양할 수 있습니다. 흔하지는 않지만, 어떤 경우에는 여기에서 thoracic veins(흉정맥), bronchial veins(기관지 정맥), gonadal veins(생식선 정맥)이 나옵니다. 이 혈관은 오른쪽에만 있고, 왼쪽에 대칭적으로 있지 않아서 azygos (기성의)라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azygos vein(기정맥)는 ascending lumbar vein(상행요정맥)과 오른쪽 subcostal vein(늑하정맥)이 흉추 12번 높이에서 하나로 합쳐지면서 시작됩니다. 그리고 post. mediastinum(후종격)을 따라 올라가서 sup. vena cava(상대정맥)과 합쳐지기 위해 오른쪽 주기관지(main bronchus) 바로 위와 우폐(Rt. rung) 뿌리부분 뒤에서 아치를 만들며 구부러집니다. 이 기정맥 아치(arcus venae azygos)는 해부학적으로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흔치 않은 경우지만, 아치의 위치가 옆으로 좀 더 이동할 수 있는데, 이때문에 pleural septum(흉막 중격)이 우폐의 upper lobe(상엽)과 azygose lobe(기엽)을 분리하기도 합니다.

주요한 지맥으로는 반대편인 오른쪽에 기정맥과 비슷한 형태의 hemiazygos vein(반기정맥)이 있습니다. 또한 bronchial veins(기관지정맥), pericardial veins(심막정맥), and posterior right intercostal veins(오른쪽 후늑간정맥) 등이 있습니다. 이는 vertebral venous plexuses(척추 정맥총)과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