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공부합니다***/해부생리학

[내부장기] mesentery(장간막)

힐링터치 2012. 6. 12. 14:30

 

 

 

 

 

 

장간막 [ 腸間膜 / mesenterium ]

2중층의 복막으로 되어 있는 막으로, 장관(腸管)을 복강후벽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복막은 복강내벽을 덮는 막인데, 복강 내의 대부분의 장기(臟器)는 이 복막으로 덮여 있습니다.

 

복강 내를 굽어져 지나며 유리된 장관은 복막으로 덮이지만 그 복막이 장관의 한쪽에서 합쳐져 두 층으로 된 장간막을 형성합니다. 이 장간막은 후복벽(後腹壁)에 이르러 후복벽복막으로 이행합니다.

 

장간막을 갖추고 있는 장관은 십이지장 상부의 일부, 공장, 회장, 횡행결장(橫行結腸), S상결장, 충수 외에 직장 최상부 일부입니다. 가장 폭이 넓은 것은 공장과 회장을 매달고 있는 장간막으로, 길이는 15∼25㎝입니다. 이것을 특별히 소장간막이라 하며 소장간막으로서 후복벽에 붙어 있는 부분을 소장간막근이라 합니다. 소장간막근은 제2요추체(第二腰椎體) 왼쪽에 있는 십이지장공장곡(十二指腸空腸曲)에서 시작되어 오른쪽으로 비스듬히 지나며, 우장골와(右腸骨窩)의 맹장이 시작되는 부분까지의 일직선상에 위치합니다.

 

장관에 분포하는 혈관·림프관·신경 등은 장간막 속을 지납니다. 장간막에는 지방조직이 많으며 장간막이 염전(捻轉)하면 간막 내의 혈관이 폐색되어 그 혈관의 분포범위의 장관에 괴사(壞死)가 생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S상결장은 괴사가 잘 생기는 부위이며 괴사는 노년기 남자에게 많이 생기는 증상입니다.

 

 

출처: paran 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