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유사례들***/6.유익한 자료들

녹내장(glaucoma) - ③임신을 하면 안압이 떨어지는 이유

힐링터치 2014. 3. 6. 14:59

정골의학과 EFT로 녹내장을 접근하면서 이에 관한 자료들을 모아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대부분의 자료들은 google과 youtube, 다음 검색에서 모았습니다.


 

 

[녹내장에 대한 보다 자세한 자료를 원하신다면 아래 배너를 클릭해 주세요.]


 

 

 





녹내장을 앓고 있는 여성의 경우, 임신을 하게 되면 약을 먹지 않아도 안압 상승이 억제되면서 일정부분 안전하게 안압을 유지하게 됩니다. 이는 임신 중 분비되는 호르몬의 영향 때문입니다. 주요 호르몬으로는 프로게스테론을 들 수 있는데, 이는 안전하게 임신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혈관확장과 조직이완, 신경안정 등의 효과를 발휘합니다. 이러한 프로게스테론 덕분에 눈동자에 있는 안방수 배출 통로도 덩달아 확장되어 안방수가 순조롭게 배출되어서 안압은 자연스럽게 떨어지게 됩니다. 다시 말해서 임신기간 중에는 녹내장 안약을 써야하는 고민을 할 필요가 없어진다는 뜻입니다



허나 때때로 임신을 해도 안압이 떨어지지 않는 분들도 있습니다. 저 개인적으로 이런 분들은 극도의 스트레스 아래에 있어서 프로게스테론의 영향을 제대로 얻지 못하는 거라 생각이 듭니다. 마치 임산부가 스트레스를 받거나 신경이 예민해 지면 배가 딱딱해 조여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안방수 배출통로 또한 위축되고 좁아지는 것입니다. 



지금부터는 임신기간 중에 안압을 떨어트리는 효자역할을 하는 호르몬 프로게스테론릴렉신에 대한 내용을 조금 더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임신 기간 동안 가장 큰 영향을 주는 호르몬은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입니다

이들 호르몬은 난소의 황체에서 분비되며 임신이 되지 않았을 때는 

그 기능이 쇠퇴하여 월경이 나타나게 됩니다

그러나 임신이 되면 임신 초기에는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성선자극 호르몬이 

계속 난소의 황체기능을 유지하게 해주며

차츰 태반이 완성되면 성선자극호르몬 분비는 감소하고

태반에서 주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이 분비됩니다.



에스트로겐은 자궁내막의 선상피조직을 증식시키고

자궁 평활근의 발육을 촉진시켜줍니다

또한 모유수유를 위해 유선관을 발달시키고

임신 말기에는 자궁근을 수축하여 분만이 이루어지도록 합니다

한편 프로게스테론은 자궁내박에 수정란이 착상하기 좋게 해줍니다

에스트로겐과 반대로 자궁근육을 이완시켜 임신의 유지를 도와주고

혈관의 긴장도를 낮춰줍니다

이때의 이완작용은 자궁뿐만 아니라 신체의 다른 조직에도 영향을 주어 

위장운동의 감소변비잇몸출혈 등을 유발합니다

또한 이뇨작용 효과와신경안정 효과도 동반됩니다

하지만 분만일이 가까워지면 에스트로겐의 양이 프로게스테론보다 많아져서 

자궁근육이 수축하여 분만을 하게 됩니다.

 


(참고문헌 이연숙 외, 2008, 생애주기 영양학교문사)



 

 


건강한 혈관을 유도하는 임신 호르몬 (2002-08-26 의학)


임신 호르몬이 혈관에서 건강한 생리적 반응을 유도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미국 피츠버그 대학의 Kirk P. Conrad 박사를 비롯한 연구팀은 임신 호르몬인 릴렉신 (relaxin)이 내피세포에서 산화질소 (nitric oxide)를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혈관확장과 혈압저하 그리고 신장 기능 향상 등의 효과를 거두게 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8월호에 연구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이러한 새로운 생리적 반응의 발견은 고혈압이나 심혈관질환의 치료법 개발로 이어질 수 있을 전망입니다.

 


릴렉신은 1926년에 발견된 난소 호르몬으로 여성이 임신하면 혈액 가운데 릴렉신 농도가 급격히 증가하여 임신 초기에 신장의 혈액순환을 최고치에 달하게 합니다연구팀은 전에도 임신하지 않은 쥐에 릴렉신을 투여하면 신장의 혈액순환과 여과작용이 40%나 증가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습니다.

 


임신 중에 심혈관계와 신장에 일어나는 이러한 변화는 노화와 함께 일어나는 변화와는 정반대의 양상을 보여주기 때문에 임신 호르몬 시스템의 메커니즘을 연구하면 고혈압이나 뇌졸중과 같은 성인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방법이 가능하게 될 수 있습니다현재 심혈관질환은 미국에서 사망의 첫 번째 원인으로 꼽힙니다.

 


그들은 이번 연구에서는 쥐에서 분리한 작은 동맥을 사용하여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더 나아가 릴렉신의 작용이 엔도텔린 (endothelin)이라는 펩티드 호르몬의 중계로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발견하였습니다즉 릴렉신에 의해 엔도텔린의 농도가 높아지고 엔도텔린은 다시 산화질소를 발생시켜 혈관을 확장시킨다는 것입니다또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릴렉신이 수컷 쥐에서도 역시 동일하게 혈관확장 작용을 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아래 원문 내용 참고)

(출처http://www.eurekalert.org/pub_releases/2002-08/uopm-phi082202.php)



Public release date: 22-Aug-2002

 

Contact: Michele Baum

412-647-3555

University of Pittsburgh Medical Center

Pregnancy hormone induces healthy blood vessels, Magee-Womens Research Institute scientists report

 

The pregnancy hormone relaxin induces a healthy physiological response in blood vessels, increasing dilation and benefiting blood pressure and kidney function, scientists at Magee-Womens Research Institute report in the August issue of the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 a publication of the American Physiological Society.

 

Specifically, relaxin affects kidney arteries by revving up production of nitric oxide in a layer of cells lining the inside of blood vessels called the endothelium. Finding the key to this physiologic response could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treatment of hypertension and other cardiovascular diseases.

 

"This study, which mainly targeted small renal arteries isolated from rats, is consistent with our earlier work showing that relaxin increases renal blood flow and kidney filtration by as much as 40 percent in non-pregnant rats," said Kirk P. Conrad, M.D., senior study author and an investigator at the Magee-Womens Research Institute. The hormone causes similar increases in kidney function during pregnancy.

 

"Linking relaxin with nitric oxide is another peptide hormone called endothelin which has a receptor on endothelial cells that increases nitric oxide," he added. It is the action of endothelin and nitric oxide that increases dilation in the blood vessels, improving blood flow.

 

"What happens to the cardiovascular and renal systems during pregnancy is in many respects the antithesis of changes associated with aging," continued Dr. Conrad, who is also professor of obstetrics, gynecology and reproductive sciences and of cell biology and physiology at the University of Pittsburgh School of Medicine. "If we can discover the hormones responsible for these pregnancy changes and how they work, they might be useful for fighting high blood pressure and other cardiovascular diseases such as heart attack and stroke."

 

Cardiovascular disease remains the No. 1 killer of Americans.

 

"Relaxin is an ovarian hormone that was discovered in 1926," said Jacqueline Novak, Ph.D., primary study author and assistant professor of obstetrics, gynecology and reproductive sciences at the University of Pittsburgh School of Medicine. "When a woman becomes pregnant, relaxin rapidly increases in the blood. Changes in the renal circulation are nearly at their highest by the end of the first trimester of pregnancy."

 

Experiments have shown relaxin to be "a potent renal vasodilator even in male rats," said Dr. Novak.

 

"I don't know where this will go," added Dr. Conrad. "But our studies on relaxin suggest that it may be time to evaluate other female hormones besides estrogen for affects on cardiovascular health – particularly in light of the newest findings on hormone-replacement thera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