옆의 사진은 머리를 횡단면으로 잘라, 안쪽에서 바라본 모습입니다. 노란색은 접형골(sphenoid)이고, 보라색은 후두골(occiput)입니다. 다시 말해서 노란색은 얼굴, 보라색은 뒷머리 아랫부분이라 할 수 있지요. 바로 이 두개의 뼈가 이루는 관절에서 두개천골 리듬(craniosacral rhythm)이 만들어 집니다. 때문에 두개천골치료(CST)를 함에 있어 가장 근본적이고 가장 중요한 부위라 할 수 있습니다.
통상 접형후두관절의 변위는 8가지로 나누어서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오늘은 이 변위에 대한 개략적인 내용을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단, 이러한 분류는 보다 단순하게 이해하기 위함이고, 실제 임상에서는 이 8가지가 다양하게 혼합된 양상을 보일때가 대부분임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아래 내용은 [The Heart of Listening]에서 발췌하여 번역한 것입니다.
Lesion |
진단 |
증상 | |
Flexion (A) |
|
flexion head |
단순두통, 부비동염, 요통, 내배엽 혹은 중배엽 체형에서 잘 보임 |
Extension (A) |
|
extension head |
보다 심한 두통, 편두통(감정이 침체되어 있거나 우울증이 있는 경우), 외배엽 체형에서 잘 보임 |
Torsion (B) |
|
Lt. torsion |
척추 측만증(머리, 목, 허리통증), 안구운동장애, 난독증 |
Side-Bending (B) |
|
Lt. side-bending |
torsion보다 증상이 심함, 가벼운 인격장애, 목의 회전운동 이상(특히 C1~C3의 과운동), 종종 정서적 이중성을 보임 |
Lateroflexion (혹은 rotation이라 부름) (C) |
|
Lt. lateroflexion |
세상에서 분리된 느낌(“내 머리 속에 유리판이 있어요.”라고 표현), 만성 우울증, 지속적인 경미한 두통, 머릿속의 압박감, 무기력한 의존성, 불규칙적인 신체통증 |
Lateral Strain(C) |
|
Lt. lateral strain |
중증 만성 통증증후군, 안구운동장애, 시력장애, 학습장애, 인격장애, 난독증으로 인한 반문맹, 다발성 두통 |
Vertical Strain(C) |
|
vertical strain sphenoid superior |
lateral strain 증상과 동일, 만약 flexion이나 extension이 동반되면, 우울증이나 정신분열증도 나타날 수 있다. |
Compression (C) |
|
compression head |
가장 심각한 상태, 위에 언급한 증상들이 복합적으로 나타남. vertical strain이나 lateral strain이 동반될 수 있슴. 병적인 생각, 자살충동, 죽음에 관한 꿈, 신생아에게서는 suckling reflex가 나타나지 않음, 환추후두관절의 압박도 있는지 확인해야 함. |
(A): 정상적이고 일반적인 기능이상. 심각한 물리적 충격에 의해서는 발생하지 않고,
감정적, 심리적, 가벼운 물리적 충격 등에 의해 발생
(B): 일반적으로 물리적 충격에 의해 발생
(C): 정신적 충격에 의해서는 발생하지 않고, 거의 대부분 심각한 물리적 충격에 의해 발생
'***이런 공부합니다*** > CST(두개천골요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02. rhythm motion-body(전신) (0) | 2014.05.07 |
---|---|
01. rhythm motion-cell(세포) (0) | 2014.05.07 |
[CST] CerebroSpinal Fluid(CSF, 뇌척수액)의 생성과 순환/ ventricle (0) | 2012.07.27 |
[CST] 두개천골요법 테크닉 몇가지 (0) | 2012.06.25 |
anatomy of the skull(두개해부학) (0) | 2012.06.25 |